본문 바로가기

먹거리정보

담백한 맛이 일품인 보쌈의 효능 !!!

반응형

보쌈 썸네일
보쌈

<담백한 맛이 일품인 보쌈 음식>

복을 상징하는 돼지를 복을 싼다는 의미의 쌈으로 만들어 먹는 돼지 보쌈 음식은 독특한 우라 나라의 식문화로 꼽아볼 수 있습니다.

보쌈은 돼지고기를 냄새 나지 않게 삶고 무거운 돌을 올려놓아 남은 기름기를 빼내어 상추나 배추 등에 쌈을 싸서 먹습니다.

굵게 썬 무채와 달콤한 밤을 섞어 맵게 무친 다음 새우젓국을 찍은 보쌈 고기를 노란 배추 속잎 위에 얹어 먹으면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를 맛입니다.

 

 

1. 해독작용이 뛰어난 돼지 보쌈

 

돼지고기는 일반적으로 수은이나 납 등 공해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해독작용이 매우 뛰어 납니다.

굳기 시작하는 온도가 사람의 체온보다 낮아서 대기오염이나 식수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축척된 공해물질을 보쌈을 먹음으로써 자연스럽게 몸 밖으로 밀어낼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는 먼지를 많이 마시는 경우에 걸릴 수 있는 전폐증 예방에도 특히 좋다고 합니다.

또한 돼지고기에는 비타민 B군이 쇠고기에 5~10배 이상 들어 있고 양질의 단백질과 영양소가 많아 피부미용에도 매우 좋습니다.

돼지고기에 많이 들어있는 철분은 체내 흡수율이 높아 빈혈 예방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음식입니다.

 

 

2. 장수의 비결, 돼지 보쌈

 

같은 고기를 먹더라도 직접 불에 구워서 먹는 것보다 보쌈 형태로 먹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세계적으로 장수 마을로 유명한 일본의 오키나와 노인들이 즐겨먹는 음식도 푹 삶아낸 돼지고기 음식의 형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장수 노인들 역시 삶은 돼지고기를 즐겨먹는 음식으로 꼽고 있습니다.

 

 

3. 수육과 제육의 차이

 

수육은 고깃덩어리를 잘 삶아서 눌러두었다가 얇게 썬 형태의 돼지 보쌈 음식입니다.

여기서 수육은 쇠고기로 만든 것을 말하고, 제육은 돼지고기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쇠고기로 만든 수육은 초간장이나 겨자 초장에 찍어 먹고, 돼지고기로 만든 것은 새우젓국을 찍어 배추김치에 싸서 먹습니다.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돼지고기의 지방을 분해하는 성분이 들어 있는 새우젓과 김치는 보쌈과는 최고의 궁합을 자랑합니다.

 

반응형